KDI “경기 하방 위험 증대…국내외 불확실성 탓”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년 만에 우리 경제에 경기 하방 위험이 증대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KDI는 8일 발간한 경제동향 1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생산 증가세가 둔화하고 경기 개선이 지연되면서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경제 심리 위축으로 경기 하방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대외적인 불확실성뿐 아니라 국내 정치적 불안정성이 경제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KDI가 경기 하방 위험을 언급한 2023년 1월 이후 처음이다. 당시에는 금리 인상의 실물경제 파급 효과로 경기 하방 압력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KDI는 이번 탄핵 정국 속에서도 환율과 주가 등 금융시장 지표는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경제 심리는 크게 위축됐다고 분석했다.
KDI가 과거와 최근 정국 불안시기의 금융시장 및 심리 지표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이번 상황에서는 원/달러 환율 상승 폭이 제한적이며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도 소폭 상승에 그쳤다.
그러나 소비자심리지수는 지난달 1개월 만에 12.3포인트 하락해 2016년 3개월간 9.4포인트 하락을 웃돌았다. KDI는 “기업심리지수도 과거와 달리 비교적 큰 폭으로 하락했다”고 밝혔다.
KDI는 내수 부진과 수출 증가세 둔화를 주요 경기 제약 요인으로 지목했다. 반도체를 제외한 생산과 수출의 증가세가 둔화하고 건설업 중심의 내수 경기가 미약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댓글 0개
| 엮인글 0개